로고

로고

문헌자료

도심활성화에서 신예술가집단의 역할 : 전주한옥마을 사례를 중심으로 = The Role of Neo-bohemian in Urban Revitalization

  • 트위터
  • 페이스북
  • 구글
자료형태
단행본
제목
도심활성화에서 신예술가집단의 역할 : 전주한옥마을 사례를 중심으로 = The Role of Neo-bohemian in Urban Revitalization
저자
김동영
발행처
전북대학교
발행년도
2010
내용
제1장 서론 1
1. 연구의 배경과 목적 1
2. 연구내용 4
3. 연구방법 9

제2장 이론적 배경 12
1. 이론적 검토 12
1) 젠트리피케이션 12
2) 문화주도 도시재생 17
3) 문화․예술가에 의한 일상공간의 문화공간화 20
4) 예술가와 도시창조성 28
2. 분석의 틀 34

제3장 전주한옥마을의 공동화에서 재생까지 38
1. 전주시의 도시화과정과 한옥마을의 공동화 38
1) 전주시의 도시 발전과정 39
2) 한옥마을의 공동화 과정 43
2. 한옥마을 재생정책의 추진배경 55
1) 세계적 도심활성화전략의 영향 55
2) 국가차원의 문화적 도시 활성화전략 59
3) 정체성의 위기와 도시이미지 전략 63
3. 한옥마을 활성화를 위한 전주시의 문화전략 72
1) 전통문화유산의 복원 및 현대적 재현 74
2) 문화시설의 건립 80
3) 문화행사 개최 83
4) 문화예술인 레지던스 프로그램 86
4. 소 결 87

제4장 신예술가집단의 유입과 특성 91
1. 신예술가집단의 한옥마을 유입과정 92
1) 다문커뮤니티의 유입단계 93
2) 축제와 이벤트를 통한 문화․예술가 유입 97
3) 상설공연단체 및 공예가의 유입 100
2. 신예술가집단의 한옥마을 유입배경 103
1) 한옥마을과 전통의 일체화 104
2) 한옥마을을 문화예술의 무대로 인식 109
3) 공간의 위계화와 문화적 편입 115
3. 신예술가집단의 문화적 분석 121
1) 탈이상주의적 실천성 122
2) 이질성의 융합 127
3) 현대적 장인성 132
4) 자아실현의 욕망 138
4. 소 결 141

제5장 신예술가집단에 의한 일상공간의 문화공간화 143
1. 문화행사를 통한 한옥마을의 문화공간화 145
1) 주거공간의 문화공간화: 다문잔치와 다문전시 146
2) 예술적 창조지대의 형성: 산조예술제, 마임축제, 행위예술제 152
3) 일상적 문화공간화: 상설공연 171
2. 정책 참여와 문화 권력화 175
1) 정책 참여와 담론 선점 176
2) 정책참여와 문화 권력화 180
3) 정책참여와 민관 거버넌스 188
3. 예술적 공간의 형성 194
4. 소결 201

제6장 신예술가집단과 한옥마을 문화산업 204
1. 한옥마을의 경제적 패턴의 변화 205
2. 한옥마을 스타일의 문화산업 등장 211
1) 장인적 문화산업의 등장 211
2) 공예가들의 한옥마을 입주과정 214
3) 공예의 상품화: 한옥마을 오픈마켓 219
3. 신예술가집단에 의한 문화산업의 특성 222
1) 장인정신: 작가적 자존심 222
2) 체험의 상품화와 인간적 공간의 형성 224
3) 장르 간 융합 227
4) 장인적 기질과 첨단기술의 결합 228
4. 신예술가집단에 의한 문화산업의 성과와 한계 232
1) 신예술가집단에 의한 문화산업의 성과 232
2) 신예술가집단에 의한 문화산업의 한계 234
5. 소결 238

제7장 결론 241
1. 연구요약 241
2. 이론적․실천적 함의 244

참고문헌 248
ABSTRACT 266

55045 전북특별자치도 전주시 완산구 태조로 15 (교동 65-5) 공예품전시관 TEL 063-281-1610 FAX 063-232-8889 관리자 로그인

쇼핑몰
공예공간
shop바로가기
3D 온라인
전시관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