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용
제출문 = 1
요약문 = 2
1. 제목 = 2
2. 연구개발의 목적 및 중요성 = 2
3. 연구개발 내용 및 범위 = 3
4. 연구개발 결과 및 활용에 관한 건의 = 5
SUMMARY = 11
CONTENTS = 21
목차 = 25
제1장 서론(INTRODUCTION) = 30
제2장 목공예용 대체수종개발(STUDY ON THE SUBSTITUTE SPECIES FOR WOODEN CRAFTING) - 침엽수재 원판의 진공건조기술 개발(Development of Vacuum Drying Technology of Softwoods Disks for Wooden Crafting Materials) = 33
제1절 서설(Introduction) = 34
제2절 재료 및 방법(Materials and Methods) = 35
1. 공시수종과 시험편 채취(Species and preparations) = 35
2. 가열판압체식 진공건조시험(HPP/V)(HPP/V drying test) = 36
3. 압체식고주파진공건조시험(RFP/V)(RFP/V drying test) = 36
4. 건조결함 조사(Investigation of drying defects) = 44
제3절 결과 및 고찰(Results and Discussions) = 44
1. 건조시간과 건조속도(Drying times and drying rates) = 44
가. HPP/V건조 = 44
나. RFP/V건조 = 46
2. 심재할렬과 변재할렬(Heart check and sapwood check) = 67
가. HPP/V건조 = 67
나. RFP/V건조 = 68
3. V형크랙(V-shaped crack) = 76
가. HPP/V건조 = 76
나. RFP/V건조 = 77
4. 수지용출(Resin exudation) = 82
제4절 결론(Conclusions) = 83
가. 가열판압체식 진공건조(HPP/V건조) = 83
나. 압체식고주파진공건조(RFP/V건조) = 84
참고문헌(References) = 85
제3장 목공예용 대체수종개발(STUDY ON THE SUBSTITUTE SPECIES FOR WOODEN CRAFTING) - 침엽수재의 목공예용재화 기술개발(Technical Development for Wooden Craft Materials of Softwoods) = 87
제1절 서설(Introduction) = 88
제2절 재료 및 방법(Materials and Methods) = 89
1. 공시원목(Materials) = 89
2. 기초재질조사 시험방법(Experimental methods for basic properties) = 89
가. 물리적 성질 측정 = 89
나. 기계적 성질 측정 = 90
다. 접착력 시험 = 90
라. 도장성 시험 = 90
3. 재질개량화 시험방법(Experimental methods for modified properties) = 90
가. 침엽수재의 청변예방 = 90
나. 수용성 고분자 함침처리 = 91
다. 수용성 페놀-포름알데하이드수지 함침처리 = 91
라. 수용성 페놀-포름알데하이드수지처리 열압축목재 제조 = 91
마. 열압축목재 제조 = 91
제3절 결과 및 고찰(Results and Discussions) = 92
1. 기초재질조사(Basic properties) = 92
가. 물리적 성질 = 92
나. 기계적 성질 = 95
다. 접착성 = 98
라. 도장성 = 104
2. 소재의 재질개량(Modification of solid wood) = 106
가. 침엽수재의 청변예방 = 106
나. 페놀-포름알데하이드수지 함침처리 = 106
다. PEG-1000 함침처리 = 113
라. 열압축처리목재 = 117
마. 페놀수지함침 열압축목재 = 117
바. 재질개량화처리 목재의 치수 안정성 = 117
사. 재질개량화처리 목재의 기계적 성질 = 127
제4절 결론(Conclusions) = 133
참고문헌(References) = 134
제4장 관행 목공예용 활엽수재 원판 및 특수운동구용재의 진공건조기술 개발(DEVELOPMENT OF THE VACUUM DRYING TECHNOLOGY OF THE HARDWOODS DISKS FOR THE CONVENTIONAL WOODEN CRAFTING MATERIALS AND STOCKS FOR SPECIAL SPORTS GOODS) = 135
제1절 목공예용 원판의 압체식고주파진공건조의 가능성 검토(The Possibilities of Radio-Frequency/Vacuum Plus Mechanical Pressure drying Tree Disks for Wooden Crafts) = 136
1. 서설(Introduction) = 136
2. 재료 및 방법(Materials and methods) = 138
가. 시험편 준비 = 138
나. RF/V건조 = 140
다. RF/V-to-press건조 = 140
3. 결과 및 고찰(Results and discussions) = 143
가. 건조시간과 건조속도 = 143
나. RF/V건조중 재온분포 = 147
다. 심재할렬 = 150
라. 수출률과 V형크랙 = 151
4. 결론(Conclusions) = 157
참고문헌(References) = 158
제2절 관행 목공예용 활엽수재 원판의 압체식고주파진공건조기술 개발(Development of Radio - Frequency/Vacuum Plus Mechanical Pressure Drying Technology of Hardwoods Disks for the Conventional Wooden Crafting Materials) = 160
1. 서설(Introduction) = 160
2. 재료 및 방법(Materials and methods) = 160
가. 공시수종과 공시재료 = 160
나. RFP/V건조와 잔적 = 161
다. 건조시간 추정시험 = 161
라. 건조결함시험 = 161
3. 결과 및 고찰(Results and discussions) = 164
가. 건조시간과 건조속도 = 164
나. 심재할렬과 변재할렬 = 170
다. V형크랙 = 170
4. 결론(Conclusions) = 175
참고문헌(References) = 176
제3절 특수운동구용재의 진공건조기술 개발(Development of Vacuum Drying Technology of Stocks for Special Sports Goods) = 178
1. 서설(Introduction) = 178
2. 재료 및 방법(Materials and methods) = 178
가. 공시재료 = 178
나. 열기건조시험 = 179
다. RFP/V건조시험 = 180
라. 건조수출률, 건조결함 및 충격강도 조사 = 180
마. 소요전력량 조사 = 180
3. 결과 및 고찰(Results and discussions) = 181
가. 건조시간과 건조속도 = 181
나. 건조수축률과 찌그러짐 = 184
다. 할렬과 충격강도 = 185
라. 소요전력량 = 185
4. 결론(Conclusions) = 187
참고문헌(References) = 188
제5장 간벌 소경재를 활용한 목제복합욕조 제조기술 개발(DEVELOPMENT OF MANUFACTURING TECHNOLOGY OF WOODEN - BATHTUB FROM THE THINNED SOFTWOODS) = 190
제1절 서설(Introduction) = 191
제2절 재료 및 방법(Materials and Methods) = 193
1. 공시원목(Materials) = 193
2. 욕조제조 및 욕조성능 시험방법(Manufacturing and experimental methods for wooden bathtub) = 195
가. 욕조제조용 집성재 제조 = 195
나. 욕조제조공정 = 195
다. 목제욕조 성능시험 = 195
제3절 결과 및 고찰(Results and Discussions) = 197
1. 집성판의 접착력(Bonding strength of glulam) = 197
2. 목제욕조의 성능(Performance of wooden bathtub) = 204
3. 목제욕조 제조비용(manufacturing cost of wooden bathtub) = 212
제4절 결론(Conclusion) = 214
참고문헌(References) = 215
제6장 목공예품의 특성화 디자인 개발(DEVELOPMENT OF THE SPECIFIED DESIGNS AND ITEMS OF WOODEN CRAFTS) = 216
제1절 서설(Introduction) = 217
제2절 개발품목의 선정(Collection of the Basic Data for Selection for Developing Items) = 219
1. 방법 및 절차(Methods and procedure) = 219
2. 연구목표 분석(Analysis of researching target) = 219
3. 공예품의 공급여건(Supply condition of wood crafts) = 219
4. 잠정수요시장(Temporally demand market) = 220
5. 공예품의 주요 사용대상 실정(Establishment of the major usage wood crafts) = 220
6. 마케팅 상품전략(Goods strategy of marketing) = 221
7. 소비자 설문조사(Questionnaires investigation of consumers) = 221
가. 일반적인 조사항목 = 221
나. 남원 방문 관광객조사 = 224
다. 국립공원 지리산 방문 관광객조사 = 226
8. 개발품목 선정결과(Results of the developed item selection) = 228
가. 용도 분석결과 = 228
나. 품목 분석결과 = 229
다. 개발품목선정 = 230
제3절 선정품목의 설계 및 제작(Design and Woodworking of the Selected Items) = 230
1. 설계의 특징(Features of the designs) = 230
2. 응용소재 연구(Research of application materials) = 230
3. 제작기법의 특징과 프로세스(Features and processes of woodworking) = 231
가. 제기 세트디자인 = 231
나. 아동용 퍼즐 디자인 = 231
다. 장식용 촛대 디자인 = 231
라. 장식용 시계 디자인 = 232
마. 장식용 나무인형 = 232
바. 모빌형 그릇류 = 232
사. 접시류와 남비 받침 디자인 = 233
아. 함류 디자인 = 233
자. 일력 디자인 = 233
차. 화병 디자인 = 233
카. 연필꽂이 디자인 = 233
4. 개발품목의 전시발표(Exhibition and publication of the developed items) = 234
제4절 시작품과 설계도면(Exhibition Wood Crafts and Drawings) = 235
1. 아동용 퍼즐 디자인 = 235
2. 제기 세트디자인 = 241
3. 장식용 촛대 디자인 = 260
4. 장식용 시계 디자인 = 270
5. 장식용 나무인형 = 279
6. 모빌형 그릇류 = 284
7. 접시류 및 남비 받침 디자인 = 293
8. 함류 디자인 = 304
9. 일력 디자인 = 311
10. 화병 디자인 = 317
11. 연필꽂이 디자인 = 320
제5절 결론(Conclusions) = 324
부록 = 325
설문 1. 일반인조사 = 325
설문 2. 남원방문 관광객조사 = 328
설문 3. 국립공원 지리산 방문 관광객조사 = 330
제7장 종합(SYNTHESIS) = 332